대한민국, 서울 – 2020년 11월 12일 – Vodafone Business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COVID-19 사태를 헤쳐 나가는 데 사물인터넷(IoT)의 역할을 주요 우선순위로 꼽았다. Vodafone Business의 IoT 스포트라이트 2020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IoT를 사용 중인 한국 기업의 75%가 일부 IoT 프로젝트의 속도를 올리고 있다고 응답했고, 81%는 IoT가 최우선 과제로 부상했다고 응답했다.
IoT 스포트라이트 2020 보고서는 IoT, 비즈니스 전략, 회복 탄력성, 성공의 관계를 탐구하는 글로벌 리서치 페이퍼다. 설문은 싱가포르, 중국, 한국, 일본, 인도를 포함한 13개 시장에서 1,6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팬데믹 기간 중 단비 같은 IoT
COVID-19 사태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되면서 비즈니스 리더 앞에 놓인 과제는 운영 비용 조절을 위한 이니셔티브와, 뉴노멀 시대에 경쟁력을 갖추고 혁신을 주도할 새로운 사업 모델 개발을 위한 투자 사이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IoT가 이러한 문제의 해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기업이 IoT 제품 혹은 솔루션을 사용해 얻은 주요 이익은 다음과 같다.
운영 비용 절감(68%)
새로운 수익원 창출(42%)
기존 수익원 개선(40%)
생산성 향상(36%)
그 외 설문 결과에 나타난 주요 사안은 다음과 같다.
IoT 사용으로 비용을 절감한 아시아태평양 기업 중 4분의 3에 이르는 기업(73%)이 최소 30%의 비용 절감을 달성
마찬가지로 IoT를 사용하는 한국 기업의 69%가 운영 비용을 3분의 1 수준으로 감축
IoT를 대하는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서로 다른 자세
IoT의 이점을 깨달은 아시아태평양 기업의 82%가 팬데믹 사태에 맞서 IoT 프로젝트 추진을 가속화하고 있으나, 아태 지역 내 모든 국가가 IoT에 대해 비슷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아니다. 싱가포르와 인도의 절반에 가까운 기업(49%)이 이미 IoT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3분의 1보다 적은 수의 기업(31%)이 IoT를 사용 중이다. 또한 한국 내 IoT 사용 기업의 92%가 IoT 프로젝트를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으나 일본 기업은 54%만이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보아 기업의 광범위한 디지털화 전략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oT 적용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운영상의 문제
IoT 기술이 빠른 속도로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나 그 적용과 실행에는 여전히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IoT 적용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은 IoT가 조직 운영에 미칠 긍정적 영향에 대한 확신 결여와 함께, 예산이나 재정적 제약과 같은 운영상의 문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 내 63%(전 세계적으로는 56%)의 사업체는 IoT 프로젝트의 더욱 강력한 비즈니스 케이스를 만들기 위해 통신사와의 협력을 고려하고 있다.
반면,솔루션의 복잡성이나 IoT 관련 ‘기성 제품’의 부족과 같은 기술적 문제를 우려하는 기업은 거의 없었다. 작년 아태지역 내에서 IoT 솔루션 적용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잠재적 장벽으로 사이버보안 이슈가 지목된 반면, 올해에는 5분의 1보다 적은 수(19%)의 응답자가 사이버보안 문제를 잠재적 방해 요소로 꼽았다.
Vodafone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IoT부문 총괄인 저스틴 넬슨(Justin Nelson)은 “COVID-19 사태를 맞닥뜨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IoT의 가능성은 줄어들지 않았으며, 오히려 가속화됐다. 한국 기업에는 5G 선도국이라는 이점을 발판으로 한계를 밀어붙이고, IoT를 이용해 글로벌 혁신 허브로 발돋움해 수익을 실현할 기회가 주어졌다. 마인드셋을 바꾸고 적합한 기술 파트너를 갖추기만 하면 된다”고 말했다.
###
IoT 스포트라이트 소개
Vodafone의 IoT 스포트라이트는 전 세계의 크고 작은 기업이 IoT를 이용함에 따라 IoT의 현재적 영향력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리서치 페이퍼입니다. 해당 보고서는 사물인터넷(IoT), 비즈니스 전략, 회복 탄력성, 성공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연구는 13개의 시장에서 당사의 ‘사용자’ (A) 부류와 ‘고려자’ (C) 부류 중 총 1,639개의 응답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아시아태평양 국가에는 싱가포르, 중국, 한국, 일본, 인도가 포함됩니다.
Vodafone은 사회를 연결하고 모두를 위한 디지털 미래를 건설하는 선도적인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 기업입니다.
Vodafone은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두 개 범위의 차별화된 지역 플랫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2개 국가에서 모바일 및 고정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48개 국가에서 모바일 네트워크 파트너를 맺고 있습니다. 2020년 6월 30일 기준으로 당사는 3억 명 이상의 모바일 고객, 2천 7백만 명 이상의 고정형 브로드밴드 고객, 2천 2백만 명 이상의 TV 고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연결합니다. 우리는 기술과 연결이 보다 든든한 미래와 더 나은 삶을 가져다주리라 믿습니다. 사업의 목표는 사회경제적 진보를 가져오고, 모든 사람을 포용하고, 지구를 희생시키지 않는 디지털 사회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Vodafone은 2025년까지 10억 명의 삶을 개선하고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절반으로 줄이고자 합니다.